pISSN: 1598-7566 / eISSN: 2713-3605

동학학보, Vol.58 (2021)
pp.229~268

DOI : 10.46639/kjds.2021.58.7

동학의 역사성과 그 의미

최천집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파라미타칼리지 교수)

이 연구는 동학의 역사성과 그 의미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동학은 역사성을 가진 사상이면서 문화로 볼 수 있지만 이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아 역사성에 대한 고민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역사성은 동학의 정체성뿐만 아니라 현실성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논의의 가치가 충분한 주제이지만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논의의 필요는 충분하다. 동학은 역사성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인간이 주체가 되어 역사를 이끌어나가야 한다는 관점을 강조하고 있다. 동학에서의 인간은 그 가치나 위상에 대한 지배적인 인식이 잘못 전해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그것에서 그들만의 새로운 인간의 개념에 대한 역사를 세워나가는 장이었다. 동학은 인간관의 기반을 다진 데에서 역사를 통해 사상이 가진 사회적 적응과 대응을 모색해 가는 과정을 밟아나가면서 사상의 정체성과 실천성을 보다 수준 높게 역사성을 확보해나갔다. 동학은 시간을 중심으로 하는 역사성을 형성하고 있으면서도 중시하기도 한다. 최제우가 보인 역사에 대한 성격을 두고 고민한 흔적은 특별한 것이기도 하고 근원이 오래되기도 하여 동학 역사성의 형성에 기본적인 틀로 축적되어 온 문화적 토양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것은 동양에서 시간을 인식하는 근본적인 관점의 한 양상인 순환론적 시간관을 따른다는 것이다. 동학에서는 시간이 역사의 주요한 점이며 그것이 순환하면서 무한으로 반복한다는 기본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 이런 점에 따라 지금의 시대는 후천개벽의 시대에 해당하는데 이는 소강절의 역학론에 따른 시대구분을 끌어들여 역사를 구분하고 있는 것이다. 용어를 끌어들일 뿐만 아니라 시대가 진행되는 시간도 5만년으로 설정하는데 이런 점도 소강절의 역학론의 중요한 잣대를 시간 단위로 수용한 것이다. 동학이 가진 역사성은 동학이 발생한 시기의 역사전개과정에서 가장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한 것은 무엇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인식을 지니고 역사를 바라보아야 하며 그 과정에서 이론과 실천을 어떻게 결합하고 조절하는지를 고민하고 있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역사의 본질에 대해 계속하여 질문을 던지고 인간이 역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반성적으로 탐색한다는 점은 동학 역사성의 정체성과 생명력을 확보하는 요소로 작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것 이외에도 동학의 역사성에는 사상이 사회와 만나 지속을 하면서 축적하는 측면은 무엇이고 지속에서 단절로 바뀌면서 폭발하는 측면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는 의미를 갖기도 한다.

Donghak's Historicity and its Meaning

Cheonjip Choi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Donghak and its meaning. Donghak can be regarded as both a historical ideology and a culture, but there is no discussion about it, which raises the need to worry about historicality. Historicality is a topic that is worth discussing not only the identity of Donghak, but also the reality, but the need for discussion is sufficient because there is no discussion. Donghak emphasizes the point of view that humans must lead history as a component of historicality. Humans in Donghak pointed out that the dominant perception of their value or status is being misrepresented, and from that, it was a field to build a history of their own new human concept. Donghak has secured the identity and practicality of the ideology to a higher level as he has pursued the process of seeking the social adaptation and response of ideology through history from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human view. Donghak also emphasizes while forming a historicity centered on time. The traces of Choi Je-woo's agonizing over the history of history are both special and old, so they can be regarded as inherited from the cultural soil that has been accumulated as a basic framework for the formation of Donghak's historicity. It follows a circular view of time, an aspect of the fundamental view of time in the East. Donghak has the basic idea that time is the main point of history and that it repeats infinitely as it cycles. In accordance with this point, the present era corresponds to the era of the later period, which divides the history by bringing in the period division according to the dynamic theory of Sogangjeol. Not only does the term draw in the term, but the time period is set at 50,000 years, and this is also the acceptance of the important criterion of the dynamic theory of the sublime in units of hours. The historical nature of Donghak is what emerged as the most serious social problem in the process of history development at the time when Donghak occurred, and in order to solve it, we must look at history with what kind of perception, and consider how to combine and control theory and practice in the process. It has the meaning of doing. The fact that he constantly asks questions about the essence of history and reflects on what human status should be in history served as an element to secure the identity and vitality of Donghak's historicity. In addition to these things, the historicality of Donghak also has a meaning to show what aspects of ideology accumulate while meeting society and continuing, and what aspects exploded from continuity to disconnection.

Download PDF list




[171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 멀티미디어교육관 801호     TEL : 031-201-3445      E-mail : donghaks1998@daum.net     [개인정보보호정책]
Copyright © The Donghak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