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7566 / eISSN: 2713-3605

동학학보, Vol.65 (2023)
pp.181~220

DOI : 10.46639/kjds.2023.65.6

해방 후 대종교의 환국과 민족운동

임형진

(경희대학교 교수.)

대종교는 한민족의 기원이자 정신적 상징인 단군을 모시는 민족종교로 탄생하였다. 나철에 의해서 탄생한 대종교는 일제강점기에 가장 치열하게 항일운동을 전개한 종단이었다. 우리가 아는 대부분의 항일지사들 모두 대종교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만큼 일제강점기에 가장 큰 탄압과 공격을 당한 종단도 대종교였다. 부득이 교단을 중국으로 이전해야 했던 대종교는 1942년 일본의 대대적인 검거로 인해 풍비박산되는 임오교변을 겪게 된다. 지도급 인사 10명이 순교하는 등 최대의 위기를 넘어 대종교는 해방후 국내로의 귀국을 결정했다. 귀국 후 대종교의 민족운동에 관한 연구가 미진한 가운데 본 논문은 이 부분을 보완하는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귀국한 조국에서의 환경은 매우 열악했지만 대종교는 민족정신의 회복을 위해 모든 것을 바쳤다. 가장 먼저 개천절을 회복하고 단기연호를 사용하게 하며 단군 영전을 봉안하는 등 단군 정신으로 민족을 하나로 만드는 노력을 했다. 그들은 교구를 복원하고 교리와 교의를 완비하는 등 교단을 정비하는 가운데에도 교육문제에 집중해 국학대강좌를 개설하는 등 민족에 국학의 중요성을 전파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중심인물은 교주인 윤세복이었다. 그의 순국과 대종교의 쇠락은 민족정신의 조종과도 같았다. 환국한 대종교는 민족정신을 회복하는 운동을 전개하였지만 결과는 외세 의존세력에 의해 압도되고 말았다. 따라서 오늘의 우리 사회는 민족보다는 시민을 강조하고, 우리 말과 글보다는 외국어를, 우리 문화보다는 외래문화를, 우리 역사보다는 서구 역사를 더욱 중요시하게 하였다. 민족의 가치를 중시하는 대종교의 모습은 그대로 동학·천도교의 반면교사가 될 것이다.

Daejonggyo’s return to the country and national movement after liberation

Hyungjin Rim

Daejonggyo was born as a national religion honoring Dangun, the origin and spiritual symbol of the Korean people. Daejonggyo, which was created by Na, Cheol, was the order that developed the most fierce anti-Japanes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ost of the anti-Japanese leaders we know can be said to be members of the Daejonggyo religion. It was Daejonggyo that suffered the most oppression and attac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1942, Daejonggyo, which had to relocate its denomination to China, suffered the Imogyobyeon, a massive suppression by Japan. Daejonggyo, which overcame the greatest crisis in which 10 leading figures were killed, decided to return to Korea after liberation. After returning to Korea, research on the national movement of Daejonggyo was incomplete, and this thesis was studied with the purpose of supplementing this part. Although the environment was very poor, Daejonggyo devoted everything to recovering the national spirit. Efforts were made to unite the nation with the spirit of Dangun, such as restoring Gaecheon-jeol, using Dangun era names, and enshrining the portraits of Dangun. They restored the parish and perfected the doctrine. Focusing on educational issues, he spread the importance of Korean Studies by opening lectures at the University of Korean Studies. The central figure in these efforts was Yoon, Se-bok, the religious leader. His death and the decline of Daejonggyo were like the end of the national spirit. Daejonggyo, which had returned to Korea, developed a movement to restore the national spirit, but the results were overwhelmed by foreign dependent forces. Today’s society emphasizes citizens rather than people, foreign languages rather than Korean words and writings, foreign cultures more than our culture, and Western history more important than our history. The appearance of Daejonggyo, which emphasizes the value of the nation, will be a teacher on the other hand of Donghak and Cheondogyo.

Download PDF list




[171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 멀티미디어교육관 801호     TEL : 031-201-3445      E-mail : donghaks1998@daum.net     [개인정보보호정책]
Copyright © The Donghak Society. All rights reserved.